악성코드 분석- 기초 정적 분석, PE파일(2)
2020/04/09 - [study/Malicious code basic, Reversing] - 악성코드 분석- 기초 정적 분석, PE 파일 악성코드 분석- 기초 정적 분석, PE 파일 윈도우에서 가장 많이 악성코드로 제작되어 배포되는 PE 파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PE(Portable Excutable)파일 - win32 기본 파일형식 - exe, scr, sys, dll ... PE파일의 실행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. 1. PE.. hxxyxxn-1238.tistory.com 이전 글을 참고해서 이번엔 메시지 창이 뜨는 코드를 직접 작성하고, 그 파일을 분석해보겠습니다. #include void main() { MessageBoxA(NULL, "test", "test", 0); Sleep(300)..
단축키
내 블로그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 |
Q
Q
|
새 글 쓰기 |
W
W
|
블로그 게시글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 |
E
E
|
댓글 영역으로 이동 |
C
C
|
모든 영역
이 페이지의 URL 복사 |
S
S
|
맨 위로 이동 |
T
T
|
티스토리 홈 이동 |
H
H
|
단축키 안내 |
Shift + /
⇧ + /
|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