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728x90

이더리움

(3)
가스란? 가스는 수수료를 내는 것과 같다. 수수료는 우리가 보낸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검증하고, 블록체인에 추가하려고 노력하는 채굴자에게 보상으로 돌아간다. 수수료 지불의 예: 1. 다른 계정으로 돈 보낼 때 2. 스마트 컨트랙 배포할 때 3. 함수에서 상태 변수에 변화를 줄 때 ... 함수 실행중인 계정에서 가스비를 지불한다. 가스비도 ETH를 사용한다. 실제돈!! 그렇다면, 에더를 사용해서 그냥 내면 되는걸 왜 굳이 가스라는 단위를 만들었을까? 1. 에더는 화폐 변동성이 있다. 2. 가스 가격은 거의 변동하지 않는다. 가스 비용은 함수의 복잡성에 따라 결정된다. 연산에 소모되는 비용 == 옵코드(opcode) 네트워크 상태, 컴퓨팅 자원에 따라 비용이 결정된다. 메타마스크는 gas limit을 미리 보여준다. ..
nodestart.cmd /DAG파일 생성 geth //geth실행시킨다~ --networkid 4386 //네트워크식별자 명시하는 파라미터 --mine // 이 노드에서 채굴을 시작하게 하는 파라미터 --minerthreads 2 // 몇개의 스레드에서 채굴을 할 것인지, 너무 높게 설정하면 과부하걸린다. --datadir "./" // 우리 체인파일을 어디에 저장할것인지 --nodiscover // 탐색 프로토콜을 해지하는 것, 다른 노드가 우리 체인에 연결하는 것을 못하게. 테스팅목적이라 붙임 --rpc // 나중에 메타마스크에서 geth로 실행된 노드에 연결 가능. --rpcport "8545" // 어떤 포트에 접속해야하는지 명시하는 파라미터 --rpccorsdomain "*" //아무 도메인에서나 우리 rpc엔드포인트에 접속할 수 있도..
genesis block { "config": { //체인의 파라미터들을 정의하는 데에 쓰임. "chainId": 4386, "homesteadBlock": 0, "eip150Block": 0, "eip150Hash": "0x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", "eip155Block": 0, "eip158Block": 0, "byzantiumBlock": 0, "constantinopleBlock": 0, "petersburgBlock": 0, "ethash": {} // 체인의 합의알고리즘이 작업증명임을 말한다. }, "nonce": "0x0", "timestamp": "0x5d976229", // 이더리움 가상머신에서 블록 생성의 난이도를 조..

728x90
반응형